반응형 Development128 [Etc] CBOR 완벽 가이드 : 효율적인 데이터 교환 형식의 모든 것 CBOR 완벽 가이드: 효율적인 데이터 교환 형식의 모든 것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FIDO2 라이선스를 취득하기 위해 CBOR 형식의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를 개발하면서 CBOR 형식의 데이터를 다루었는데 이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목차CBOR이란 무엇인가?CBOR의 탄생 배경CBOR vs JSON: 차이점 비교CBOR의 기본 데이터 타입CBOR 인코딩 방식 이해하기CBOR 사용 사례주요 프로그래밍 언어별 CBOR 라이브러리CBOR 디버깅 및 시각화 도구CBOR 구현 시 주의사항웹 환경에서 CBOR 활용하기IoT 환경에서의 CBORCBOR의 미래정리 및 요약CBOR이란 무엇인가?CBOR(Concise Binary Object Representation)은 인터넷 표준(RFC 7049, 후.. 2019. 3. 12. [Android] AndroidX 개요 이번 시간은 Android Support Library를 대체하는 AndroidX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AndroidX 개요 - AndroidX는 Android팀이 Jetpack 내에서 라이브러리를 개발, 테스트, 패키지화, 버전 및 릴리스하기 위해 사용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입니다 .- AndroidX는 원래 Android Support Library 를 크게 개선한 것입니다. Support Library와 마찬가지로 AndroidX는 Android OS와 별도로 배송되며, Android Release 전반에 걸쳐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을 제공합니다. AndroidX는 기능 패리티 및 새 라이브러리를 제공하여 Android Support Library를 완전히 대체합니다. 또한 AndroidX에는.. 2019. 1. 31. [Android] Android Pie의 향상된 생체 인식 Android Pie의 향상된 생체 인식 출처 : https://android-developers.googleblog.com/2018/06/better-biometrics-in-android-p.html2018 년 6 월 21 일게시자 : Vishwath Mohan, 보안 엔지니어 사용자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앱과 기기에는 인증 메커니즘이 있거나 내가 자신임을 증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세 가지 범주로 나뉩니다. 지식 요소, 소유 요소 및 생체 측정 요소. 지식 요소는 사용자가 알고있는 (PIN 또는 암호와 같은) 물음 , 소유 요소가 사용자가 가지고있는 것 (토큰 생성기 또는 보안 키와 같은)을 요구 하고 생체 계측 요소가 사용자의 지문, 홍채 또는 얼굴과 같은 물체를 요.. 2019. 1. 31. [Android] Pie (Android OS 9.0) 기능 및 API Android 9 기능 및 APIAndroid 9(API 레벨 28)에서는 사용자와 개발자를 위한 멋진 새로운 기능과 성능을 제공합니다. 이 문서에서는 개발자를 위한 새로운 기능을 소개합니다. 새로운 API에 대해 알아보려면 API 차이점 보고서를 참조하거나 Android API 참조를 방문하세요. 또한 플랫폼 변경이 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분야에 대해 알아보려면 Android 9 동작 변경사항을 확인하세요.1. Wi-Fi RTT를 이용한 실내 위치추적- Android 9에서는 Wi-Fi RTT(Round-Trip-Time)라고도 불리는 IEEE 802.11mc Wi-Fi 프로토콜을 지원하므로, 앱에서 실내 위치 추적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지원이 포함된 Android 9이 실행되는 기기에서.. 2019. 1. 10. [Android] SwipeRefreshLayout를 활용한 예제 이번 포스팅에서는 SwipeRefreshLayout을 활용한 예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wipeRefreshLayout은 Support Library v4에서부터 지원이 가능한 레이아웃입니다. 요즘 Gmail이나 NHN등 여타 어플리케이션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므로 한번 구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먼저 File...> Project Structure...> 에서 아래와 같이 Library Dependency를 추가합니다. 2. build.gradle 파일을 열어 Dependency에 아래 그림과 같이 추가해 줍니다. 3. 이제 설정 부분은 됐습니다. 이제 뷰 영역인 Resouce XML 파일을 구현하겠습니다. XML 파일에 SwipeRefreshLayout이 들어갈 부분에 아래 그림과 같이 구.. 2016. 5. 19. [Android] Android Library Project 만들어서 Jar 파일로 추출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Android Studio에서 Library Project를 만들어서 Jar 파일로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ndroid Library Project Jar 파일로 추출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프로젝트마다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능들이 있을 것입니다. 이 기능들을 Jar 파일로 만들어서 본인이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참 편리하겠죠?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먼저 [New Project] 를 통해 새 Project를 만들고 build.grade 파일로 갑니다. 아래 그림처럼 2번 라인에 'apply plugin: 'com.android.library'라고 추가합니다. 즉, gradle에게 이 Project는 application이 아니라 libra.. 2016. 5. 12.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반응형